지속가능경영 시작하기: 중요성 평가

오늘날 기업은 사업 활동을 통해 경제, 환경, 사회 등 다양한 분야와 영향을 주고 받습니다. 그 주요 영향력을 파악하고 향후 ESG 전략을 설립하기 위한 시작단계인 중요성 평가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2021-02-01
0. 들어가기

기업이 어떠한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기회 요인과 리스크 요인들을 확인하고, 리스크 요인은 최소화하고 재무적 성취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최근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기업활동으로 비롯된 다양한 영향력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습니다. 즉, 기업의 각종 사업 활동들이 경제, 환경, 사회 등 각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기 시작한 것입니다. 기업들도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따라 자신들의 각종 사업 활동으로 인한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그것이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인지 혹은 부정적인지를 점검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최근 기업들은 향후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일을 중요하게 간주하고 있으며, 실제 많은 기업들이 이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1. 중요성 평가란 무엇인가요?

앞서 언급했듯 기업은 각종 사업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나 환경,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 영향력은 긍정적일수도 있고 부정적일수도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기업의 활동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을 중요주제material topic(혹은 중요성materiality)라고 말하고, 이러한 중요주제들 가운데 핵심 주제를 뽑아내는 절차를 중요성 평가Materiality Assessment라고 합니다. 더 나아가 중요성 평가는 외부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잠재 이슈들이 기업이나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도 포함합니다.

종합하여 말하자면, 기업이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기업에서부터 이해관계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주체들과 영향을 주고 받을 것으로 간주되는 경제, 사회, 환경적 이슈를 찾아내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틀어 중요성 평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중요성 평가를 왜 하나요?

중요성 평가를 통해서 (1) 기업은 자사의 니즈와 회사를 둘러싼 많은 이해관계자들의 생각을 파악할 수 있으며, (2) 앞으로 회사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정책결정을 해야 하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합니다. (3) 최근 기업에 대한 각종 ESG 평가에 대응할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4) 결정적으로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강점과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해서 빠르게 대처하고, 경쟁에서 선점할 수 있습니다.

3. 중요성 평가는 어떻게 하나요?

평가 절차에는 차이가 있을수 있지만, 많은 기업들이 다음의 과정을 따라 중요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이슈풀 도출: 각종 이해관계자들의 주요 관심사 및 기업 활동에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각종 이슈들을 종합합니다.
2) 중요성 평가 실시: 각 이슈에 대해서 기업이 영향을 주고 받는 정도와 이해관계자들이 영향을 주고 받는 정도를 두 축으로 하여 평가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중요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요성 매트릭스를 도출해냅니다. 이는 현재 기업과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사와 기업을 둘러싼 주제들의 관련성과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림 1] 2020 Coway 중요성 매트릭스

3) 중요주제Material Topic 선정: 중요성 평가를 통해 산출된 이슈들 중 두 축에서 모두 중요하다고 확인되고 있는 주제들을 우선순위로 선정합니다.

4. 중요성 평가를 하고 나서 무엇을 하나요?

앞선 과정을 통해 도출된 중요주제에 관하여 기업 내 최고 거버넌스 기구(이사회 등)의 검토과정을 거친 이후 중요성 평가를 마무리 합니다. (가능하다면, 이해관계자들의 검토과정을 거칩니다.)
이후에는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상황에 맞추어 지속가능경영전략을 기획 또는 추진하고, 지속가능경영 평가를 위한 대응 전략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더 나아가 중요성 평가 결과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됩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지침이 되는 Global Reporting Initiatives(GRI)의 권고에 따라 핵심이 되는 중요 주제로 선정된 이슈들에 대하여 경영전략을 도출해 냅니다. 경영전략에는 다음의 내용을 반영합니다.

  • 각 주제별 경계는 어떠한지, 어디에서 해당 영향이 발생하는지, 그 영향에 있어서 기업이 얼마나 관여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합니다.
  • 해당 주제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경영 전략의 목표는 무엇인지 등을 파악합니다.
  • 경영전략에 대한 평가를 통해 마련한 전략들이 얼마나 효과적일지, 전략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제한점은 무엇이 있을지 파악합니다.


참고자료
  • 코웨이(2020). 2020 코웨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Retrieved from http://sustainability.coway.co.kr/static_page/Stakeholder-Engagement-and-Material-Issues
  • GRI(2018). GRI 103: Management Approach 2016.
  • GRI(2018). GRI 101: Foundation 2016.
  • GRI(2018). GRI 102: General Disclosures 2016.
  • GRI(2013). G4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 보고원칙 및 표준공개.
  • KPMG International Cooperative(2014). Sustainable Insight: The essentials of materiality assessment.
  • Youmatter(2020. 3. 3.). Materiality Analysis Definition. Retrieved from https://youmatter.world/en/definition/materiality-assessment-definition/